Search: 22건

thumbimg

[홍대스트리트북스] 낭만이여, 돌아오라!
강미유 2025.10.22
[북에디터 박단비] 아직도 생생하다. 공중전화 부스에서 앞사람이 전화 끊기를 기다리며 발을 동동 구르던 순간, 전화가 끊어질까 동전을 밀어 넣으며 수화기 너머 상대와 이야기를 나누던 순간, 좋아하는 가수를 보기 위해 음악방송 시간에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다시 자본주의의 식민지가 될 거야
강미유 2025.10.21
[칼럼니스트 강미유] 스마트폰은 아이폰을 쓰고, 미국 기업인 쿠팡에서 온라인쇼핑을 한다. 국산품 애용을 장려하는 시대는 아니지만 우리 삶에서 이른바 ‘서구 자본주의’ 영향을 빼놓을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 젊은 세대의 자본주의 영향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역사적 사진 한 장 ‘히틀러 욕조 안의 리 밀러’
강미유 2025.09.23
[칼럼니스트 강미유]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식을 상징하는 대표적 사진으로 <히틀러 욕조 안의 리 밀러>가 있다. 리 밀러는 국내에서 자주 개최되는 사진작가 만 레이의 작품으로도 친숙한 시대의 아이콘이었다. 24일 <리 밀러: 카메라를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아이러니하게 추녀는 못됐고 미인은 구박을 받았다
강미유 2025.08.22
[칼럼니스트 강미유] 동화는 “잘생긴 왕자님과 아름다운 공주님은 행복하게 오래오래 잘 살았어요”하는 미담으로 끝을 맺는다. 반면에 그림형제의 ‘잔혹동화’는 등장인물이 참혹한 결과로 내몰리는 호러 버전이다. 바디호러 장르영화 <어글리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리듬을 따르는 카메라, 설명을 지운 무대
강미유 2025.08.17
[칼럼니스트 강미유] 1983년, 조나단 드미 감독은 토킹 헤즈 콘서트를 관람하고 무대 위에서 폭발하는 퍼포먼스에 강렬한 충격을 받았다. 즉시 토킹 헤즈에게 영화화를 제안했고, 그의 작품을 인상 깊게 본 밴드 멤버들 또한 이 제안을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한여름, 시원한 영화관에서 감상하는 엔니오 모리코네 OST 콘서트
강미유 2025.07.13
[칼럼니스트 강미유] “어떻게 첫 음만 듣고도 엔니오란 걸 알 수 있을까요? 그는 음악에 자기를 넣었기 때문이죠.” 영화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는 다큐멘터리 영화 <엔니오: 더 마에스트로>에서 엔니오 모리코네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주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영화가 끝난 뒤에도 이 아이들은 계속 살아 숨 쉰다
강미유 2025.05.01
[칼럼니스트 강미유] 지진, AI 감시, (일본)국가 통제, 시위, 헤이트 스피치(혐오 발언), 인종 차별 등 여러 가지 화두가 동시에 쏟아진다.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조금 피곤하다. 생각하기를 귀찮아하는 정신은 썩었다. 네오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우리의 신앙이 살아있는 까닭은
강미유 2025.03.13
[칼럼니스트 강미유] 로버트 해리스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영화 <콘클라베>가 아카데미영화제와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콘클라베(Conclave)’는 라틴어로 ‘콘 클라비스(Con clavis)’ 즉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삶엔 리허설이 없다
강미유 2025.02.11
[칼럼니스트 강미유] “주인공의 행복한 모습을 보고 싶다는 마음으로 출발했고 두 분이 나눠 온 사랑에 집중하려고 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두 사람>를 연출한 반박지은 감독의 말이다. 영화감독이자 제작자, 시각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2011년 3.11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강미유 2025.01.15
[칼럼니스트 강미유]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이 곧 14주년이 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지만 이 사건을 트라우마로 가지고 있는 이들이 다수다. 즉 이제는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는 것. 15일 개봉한 오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예술가에게 일상이란
강미유 2025.01.11
[칼럼니스트 강미유] 영화 <퍼스트 카우>의 켈리 라이카트 감독 신작 <쇼잉 업>이 개봉했다. 라이카트 감독은 예술가의 삶을 기존 전기영화와는 사뭇 다른 방식으로 다룬다. 조각가 리지(미셸 윌리암스)는 중요한 개인전을 앞두고 신경이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짙은 어둠 속 터널 끝, 한 줄기의 빛"
강미유 2025.01.03
[칼럼니스트 강미유] 2001년 밀레니엄을 맞이한 비키(서기)는 항구도시 지룽(기륭)에서 터널처럼 보이는 경사를 따라 걷는다. 10년 후인 2011년의 비키가 이때를 회상하며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새로운 세기에 대한 기대와 불안이 뒤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CGI 없이 만든 판타지를 가능하게 한 영화 촬영지 7
강미유 2024.12.24
​[칼럼니스트 강미유] CG(컴퓨터그래픽) 기술로 영화에서 펼쳐지는 상상력이 한층 풍부해졌지만 대형 스크린에 펼쳐지는 실경의 스펙터클이 주는 감동은 사뭇 다르다. 2008년 개봉한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이 바로 그런 영화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힘을 내려니 힘들다
강미유 2024.12.16
[칼럼니스트 강미유] 예능 <프로듀스 101>처럼 아이돌에 도전하는 연습생 이야기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을 보면 아이를 아이돌 댄스 학원에 보내는 부모도 주변에 많다. 그렇다면 연습생으로 여러 해 노력했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우리 가운데 살아남을 것은 사랑이다
강미유 2024.12.11
[칼럼니스트 강미유] 킬리언 머피는 클레어 키건의 동명소설 <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읽고 스크린으로 옮기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직접 프로듀서를 맡았고, 당시 영화 <오펜하이머>에 함께 작업 중이던 맷 데이먼에게 의향을 밝혔다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칫솔을 같이 쓰는 사이라도
강미유 2024.12.06
[칼럼니스트 강미유] 법정 스님의 <무소유>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화두는 “칫솔을 같이 쓰는 사이일지라도 남”이다. 아(我)가 아닌 모든 타(他). 설령 피붙이라고 해도 타자는 모두 남일 뿐이어서 잘 알기 어렵다. 4일 개봉한 <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저녁바다 갈매기는 행복을 싣고
강미유 2024.11.29
[칼럼니스트 강미유] “아침바다 갈매기는 금빛을 싣고, 고기잡이 배들은 노래를 싣고, 희망에 찬 아침바다 노저어 가요. 저녁바다 갈매기는 행복을 싣고, 고기잡이 배들은 고기를 싣고, 넓고 넓은 바다를 노저어 와요.” 동요 <바다>의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일본에 사는 일제강점기 피해자들에 관하여
강미유 2024.11.26
[칼럼니스트 강미유] 일본이 세계2차대전에서 항복을 선언한 1945년으로부터 8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 일제 강점기에 위안부, 강제 노역자, 원폭 피해자 등 생존자가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이대로 옛 과오를 흘려보내는 것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청계천과 광화문을 걷다가
강미유 2024.11.16
[칼럼니스트 강미유] 청계천을 따라 삼일빌딩에서 옛 서울극장(지금은 문을 닫았다)까지, 다시 역으로 수표교와 광교를 지나 영풍문고까지 풍경이 느리게 반복적으로 보여진다. 영화 <미망>은 이 길을 함께 걷는 남녀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

thumbimg

[강미유의 ailleurs] 독재정권 하에서 살아낸 사람들
강미유 2024.11.08
※이 칼럼은 스포일러가 있습니다.[칼럼니스트 강미유] 스페인은 내전(1936~1939)으로 정권을 잡은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사망한 1975년까지 독재정권 체제였다. 1940년생인 빅토르 에리세 감독은 프랑코 독재정권에서 태어나서 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