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구독·베스트샵 미반영…삼성의 77인치 이상 OLED 국내 점유율, LG의 3분의 1”
![]() |
▲삼성전자 모델이 지난 7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삼성 강남에서 진행된 ‘언박스&디스커버(Unbox & Discover) 2025’ 행사에서 2025년형 삼성 OLED를 소개하고 있는 모습(왼쪽)과 LG전자 올레드 TV(G5) 라이프스타일 이미지컷. /각사 뉴스룸 |
이번 주제는 ““우리가 1등”…삼성전자 vs LG전자, 2025년 TV 신제품 출시하며 ’OLED 1위‘ 놓고 신경전”입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025년형 TV 신제품을 나란히 출시하며 '인공지능(AI) TV'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점유율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올레드 TV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는 국내 대형 시장에서는 자사의 제품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주장하자, '올레드 명가'인 LG전자는 “잘못된 시장 데이터”라며 즉각 응수에 나섰습니다.
두 회사의 신경전은 삼성전자가 지난 7일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개최한 TV 신제품 론칭 기념행사 ‘언박스 & 디스커버 2025’에서 불거졌습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이날 “현재 자사의 OLED TV 가운데 77인치 이상 모델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60% 정도 된다”며 “대형 TV(올레드)에서는 국내 및 글로벌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LG전자는 용 사장의 OLED TV 점유율 발언에 대해 “구독 사업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라고 즉각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LG전자 측은 “(삼성이 참고한) 시장조사기관 Gfk 데이터에는 LG전자 제품을 가장 많이 판매하는 LG베스트샵 판매량,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구독 판매량 등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아 실제 국내시장 점유율과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실제 가전유통업계를 통해 77인치 이상 OLED 국내 시장에서 올해 1~3월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보면 LG전자의 3분의 1”이라며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지난해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오세아니아 시장의 70인치 이상 점유율은 출하량 기준 LG전자 74.2%, 삼성전자 20.9%”이라고 설명했숩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라인업을 대폭 강화한 AI TV 신제품을 공개하며 초대형 TV 시장도 함께 공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9개 시리즈 34개 모델에서 올해 QLED와 더 프레임을 포함해 14개 시리즈 61개 모델로 AI TV 라인업이 크게 늘어나 AI TV에 대한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특히 OLED는 SF90 시리즈에 42형부터 83형까지 라인업을 구축했습니다. 3개 시리즈의 14개 모델을 선보여 OLED를 선호하는 소비자에게 더욱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Neo QLED 기존 최대 화면 크기였던 98형에서 올해 115형, 100형 제품을 새롭게 추가했습니. 삼성전자는 OLED TV 출하량을 지난해보다 확대하며 국내 OLED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겠다는 전략입니다.
LG전자는 이날 삼성전자의 TV 신제품 발표 행사에 맞춰 “북미, 한국에 이어 유럽에 2025년형 OLE) TV 라인업을 본격 출시하고 차별화된 AI 기능을 앞세워 글로벌 OLED TV 시장 13년 연속 1위를 정조준한다”면서 맞불을 놨습니다.
LG전자는 2025년형 TV 신제품을 통해 ▲AI 컨시어지(AI Concierge) ▲AI 서치(AI Search) ▲AI 챗봇(AI Chatbot) ▲AI 맞춤 화면·사운드 마법사(AI Picture·Sound Wizard) ▲보이스 ID(Voice ID) 등 5대 AI 기능을 선보인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2025년형 OLED TV를 앞세워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리더십을 더욱 굳건히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출시한 2025년형 TV 신제품의 주요 특징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