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그로서리만 한 게 없다!’…롯데마트 vs 이마트, 식료품 특화매장 확충 경쟁 ”입니다. 최근 국내 주요 대형마트가 선보이는 그로서리 특화점포의 차별점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이마트 푸드마켓 수성점. /이마트 제공 |
2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1층 핵심공간을 문화·휴식 특화공간으로 채운 복합쇼핑공간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에 이어 대구 수성구에 1년 내내 식료품을 상시 저가에 판매하는 ‘이마트 푸드마켓’을 지난 13일 선보였다.
이마트 푸드마켓은 이마트가 쌓아온 31년 업력의 상품기획 노하우를 한데 모아 선보이는 새로운 포맷의 점포로 1년 내내 식품을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는 ‘그로서리 하드 디스카운트 매장’을 표방한다.
격변하는 온-오프라인 유통시장을 정면 돌파할 성장 동력으로 ‘본업 경쟁력’ 강화를 내세운 이마트가 새롭게 선보이는 ‘가격 혁신’ 모델이라는 게 이마트 측의 설명이다.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이 장보기를 넘어 휴식-체험-쇼핑이 어우러진 지역 밀착형 쇼핑몰로 거듭난 ‘공간 혁신’이었다면, ‘이마트 푸드마켓 수성점’은 식료품을 상시 저가로 판매해 장바구니 부담을 확실히 낮추는 ‘가격 혁신’을 이뤄냈다.
이마트는 앞으로도 압도적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하는 ‘가격 혁신’과 장보기를 넘어 체험으로 고객 경험을 확장하는 ‘공간 혁신’ 2개의 축으로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마트는 신규 매장의 경우 '푸드마켓' 콘셉트로, 대규모 매장은 '스타필드마켓'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상반기 오픈 예정인 이마트 고덕강일점이 푸드마켓 2호점 대상이다.
‘이마트 푸드마켓 수성점’의 전체 영업면적은 3966㎡이다. 이 중 테넌트와 행사장을 제외한 직영 면적의 86%인 2829㎡을 그로서리 상품으로만 채워 ‘식료품점 끝판왕’ 포맷을 소비자들에게 새롭게 선보인다.
알디(Aldi)와 같은 글로벌 HDS 소매업체가 PB 상품을 중심으로 초저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면, ‘이마트 푸드마켓’은 신선식품을 특화 시킨 모델로 차별화했다. 상품 가격은 할인점 보다 20~50% 저렴하게 운영해 ‘대한민국 그로서리 상시 저가’를 실현하겠다는 포부다.
또 수성점이 도보 고객이 많은 근린상권인 점을 고려해 신선식품의 판매 단량을 조정했다. 할인점에서 기본 600g 단위로 판매하는 육류는 400~500g으로 중량을 줄이고, 양파, 파, 양배추, 버섯 등 채소류는 포장 단량을 30%이상 줄이면서 단위당 가격은 최대 50% 낮췄다.
가격 민감도가 높은 라면, 참기름, 고추장, 참치, 우유, 와인 등 주요 가공 식품은 주기적인 시장조사를 통해 지역 내 최저가격으로 판매하고, 초저가 단독 기획 상품을 개발해 가격 선명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매일 데일리밀크’는 900ml 2개를 2980원의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한다. 이는 유사한 스펙의 NB 상품 보다 33.5%가량 싼 가격이다.
주요 협력사와 이마트 푸드마켓 포맷에 적합한 단량과 스펙으로 개발한 PNB 상품 ‘이유 있는 싼 가격’ 시리즈 70여종도 준비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매장 운영비도 최소화하는 등 오로지 가격 투자에만 집중해 고객들이 깜짝 놀랄만한 압도적 가격에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고객 관점에서의 가격 혁신을 추구해 장바구니 물가 걱정을 최대한 덜어드리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마트 푸드마켓은 크게 3가지 측면에서 가격 혁신을 이뤄냈다. 이마트가 지난 31년간 축적해온 상품 매입 노하우를 집약적으로 담아냈다.
신규 포맷인 이마트 푸드마켓 운영에 최적화된 경쟁력 있는 협력회사를 선별하고, 주요 상품은 연간 단위 물량 계약을 통해 매입단가를 낮췄다. 육류, 수산물의 경우 경상도 지역 우수 협력사와 전략적 협업을 하고, 비식품은 협력사의 단종 재고와 잔여 재고를 일괄 매입해 초저가로 판매하는 방식도 활용했다.
실제로 경남 창녕군에 위치한 축산전문기업 ‘해드림’은 수성점 돈육 물량의 80% 이상을 전담해 납품한다. 이마트는 기존 축산 협력사 중에 근거리 물류와 물량 전담 운영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낼 수 있는 협력사를 찾았고 이를 통해 상품의 신선도와 원가 경쟁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었다.
할인행사에 사용되던 마케팅 비용을 상품 가격에 투자하고 이마트 자체 마진도 낮춰 고객이 언제든지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유통 구조를 만들어냈다. 점포 개발 투자비 절감, 물류 동선 효율화, 전자 가격표 도입, 진열 방식 개선, 현장 업무 간소화 등으로 판매관리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구조를 최소화했다.
수성점 매장 곳곳에는 상권과 트렌드를 반영한 특화존을 배치해 차별화를 꾀했다. 고물가 시대 혜자템으로 각광받는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의 인기 상품들을 모아 ‘트레이더스존’을 구성했다.
유기농, 무농약 등 오가닉 상품에 특화된 ‘미니 자연주의존’, 세계 맥주, 와인, 위스키 등 주종을 망라한 주류 전문 ‘와인&리큐르존’, 고객 취향에 맞게 소분 가능한 가성비 ‘대용량 육류존’, 이마트 수산 인기코너 ‘참치정육점’까지 이마트의 고도화된 상품 경쟁력을 푸드마켓에서도 그대로 만나 볼 수 있다.
한채양 이마트 사장은 “이마트 푸드마켓 수성점은 이마트가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에 이어 두번째로 선보이는 차세대 미래형 매장”이라며 “모든 역량을 상품의 압도적인 가격과 품질에 집중해 1년 내내 상시 저가로 식료품을 판매하는 ‘가격 혁신’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