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미술계 지원은 등한시…한해 30억~50억 로얄티 지불 ‘문화사대주의’”
‘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프랑스 3대 미술관 ‘퐁피두센터’ 부산 분관 유치 놓고 찬반 대립 격화”입니다. 부산시의 ‘퐁피두 센터 부산 분관’ 건립 계획과 이를 둘러싸고 격화하고 있는 찬성‧반대 측의 주장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부산지역 시민예술단체 등이 발족한 ‘퐁피두분관유치반대 부산시민사회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퐁피두 센터 부산 분관’ 유치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부산참여연대 홈페이지 캡처 |
13일 부산일보 등 지역매체에 따르면 부산참여연대를 비롯해 15개 지역 시민‧예술 단체로 구성된 ‘퐁피두 분관 유치 반대 부산시민사회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지난 11일 부산시청 앞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을 통해 부산시의 퐁피두 센터 분관 유치를 ‘졸속’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퐁피두센터 측과 맺은 양해각서(MOU)와 본계약 체결 절차 중단 등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부산시는 최근 이기대예술공원에 퐁피두 센터 부산 분관을 유치하겠다면서도 지역 미술계, 시민사회의 어떠한 의견 수렴도 진행하지 않고 비밀리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분관 유치의 타당성을 따지기 위해 개최한 시민사회 토론회를 방해할 목적으로 같은 날, 같은 시간대에 관제 토론회를 개최하고, 졸속·기습으로 퐁피두 측과 화상 MOU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퐁피두 센터 부산 분관이 들어설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공적자금 350억여 원(총 737억 원)이 투입됐고, 미술관 건축비는 1100억 원 이상, 운영비는 한 해 120억여 원이 필요하다”며 “시민 혈세가 대규모로 들어가고 부산지역 문화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 과정을 모두 비공개하고, 시의회 회의도 공개하지 않으면서 부산시는 모든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부산시의회는 시가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 부산지역에 얼마나 필요한지, 예산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등을 충실하게 확인했는지 회의록과 회의 영상을 공개해 스스로 해명해야 한다”며 “이를 공개하지 않는다면 부산시의회가 부산시의 독단적이고 무리한 사업 추진을 묵인하고 방조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시민 동의없는 퐁피두센터 업무협약 체결 철회와 계약 중단 ▲10월 퐁피두 센터장 방문 내용 공개 ▲시의회의 비공개 심의 회의록, 협약 내용 공개 ▲시민 공청회 개최' 등을 부산시에 촉구했다.
앞서 이들 단체는 지난 5일 대책위 발족 성명을 통해 “기존의 공공 미술관(시립, 현대미술관), 지역 미술계의 지원은 등한시하고 문화 사대주의에 빠져 부산 시민의 세금으로 한해 30억~50억 원 달하는 로열티까지 지불하면서 ‘세계적 미술관’ 유치라는 명분으로 상업적 브랜드를 유치하는데 혈안이 된 부산시를 더 용납할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지난해 11월29일 부산시는 ‘퐁피두 서울과 부산 분관이 동시에 운영되지 않는다’라고 했다가 최근 ‘동시에 운영될 수도 있다’, ‘허위 보고하지 않았다’라고 말을 바꿨다”며 부산시의 ‘거짓 답변’을 지적했다.
.
그러면서 “부산시는 절차와 과정들은 철저히 무시했고 (북항에서) 이기대로의 장소 변경도 심지어 퐁피두 측의 요구였다는 변명을 하고 있다”면서 “재정 악화로 해외 분관 유치에 목메고 있는 퐁피두센터에 부산시민의 세금으로 한해 30억~50억원의 상표사용료까지 지불하면서 분관을 유치하려는 것은 문화사대주의에 불과하다”고 주장헸다
대책위는 “부산시의 문화 사대, 세금 낭비 이기대 퐁피두 분관 유치 계획을 취소하고 부산시민들에게 사과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