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수질 개선” vs “생태계 훼손”…강릉 경포호 대형 ‘인공분수’ 설치 논란”입니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명승지 ‘경포호’에 인공분수를 설치하는 방안을 놓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경포호의 수질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 사업”이라고 주장하는 강릉시와, “수질 개선을 명목으로 대표적 석호이자 철새도래지인 경포호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는 지역 환경단체의 주장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모임’ 관계자들이 지난 23일 오후 강원도 강릉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릉시의 경포호 분수 설치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모임 제공 |
30일 ‘강원영동생명의숲’ 등 지역 시민‧환경단체와 한겨레 보도 등에 따르면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모임’은 지난 23일 강릉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릉시가 20여년 전에도 논란이 돼 중단된 경포호 대규모 인공분수 설치를 재추진하고 있는데 당장 사업을 전면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시민모임은 이 자리에서 “자연 자체로서 가치가 큰 생태 경관 자원인 석호에 인공구조물이 설치되면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한번 사업이 진행되면 여러가지 개발 사업이 연쇄적으로 추진될 가능성도 커진다. 결국 수질을 개선하겠다는 의도와 상관없이 자연호로서의 가치와 기능이 훼손되고,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도 잃게 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환경단체들은 인공분수가 설치될 장소가 겨울철에도 얼지 않아 경포호를 찾는 겨울 철새들의 주요 먹이터라는 점, 또 인공분수 설치에 따른 퇴적물 분산 등 호수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공사 기간 부유토사 발생과 생물 서식지 소멸 등의 환경오염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윤도현 강원영동생명의숲 사무국장은 “강릉시는 통반장 등 관조직을 동원해 주민동의서를 받고 있는데 거기엔 수질 개선 사업이라는 단 두줄 짜리 간단한 설명만 있을 뿐 정확한 판단 근거가 될 충분한 계획과 설명이 빠져있다”며 “대규모 인공분수 시설을 수질 개선 사업이라고 둔갑시키고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공개하지도 않고 진행 중인 주민동의서 작성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