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픽사베이 |
[뉴스밸런스 = 진유선 기자] 한국이 반도체 수출 부진 등으로 지난해 무역수지 99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하반기 수출 부진 완화에도 2년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면치 못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수출이 6326억9000만달러로 전년보다 7.4% 감소했다고 밝혔다.
수출은 2020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도체 수출이 글로벌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부진을 겪었다. 반도체는 1분기 저점을 찍은 뒤 점차 개선돼 11월 증가세로 전환된 뒤 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자동차, 일반기계, 선박 등 3개 품목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고부가 차량 수출 판매 호조로 709억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였던 지난해(541억달러)보다 30% 이상 늘었다. 일반기계는 4.6%, 선박은 20.9% 늘었다.
지역별로는 중국으로 수출이 19.9% 감소했다. 중국으로 수출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연속 매달 100억달러를 상회하면서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주요 9대 수출시장 중에는 미국, EU(유럽연합), 중동, 독립국가연합(CIS) 등 4개 시장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미국으로 수출은 1157억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05년 이후 18년 만에 아세안을 제치고 2위 수출시장 지위를 회복했다.
폴란드(14.8%↑)와 아랍에미리트(UAE)(11.9%↑), 사우디아라비아(9.4%↑) 등 정상외교가 활발했던 국가로 수출도 증가했다.
폴란드는 K-방산 수출 호조 영향으로, UAE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등 수출 증가로, 사우디는 자동차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각각 수출이 늘었다.
무역수지는 수출 점진적 개선과 에너지 가격 안정화 등에 따른 수입 감소로 지난해 6월 흑자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만 놓고 보면 163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수입은 6426억7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2.1% 감소했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에 달성하며 수출 위기를 조기에 극복했다”며 “새해에도 우리 수출이 상승곡선을 그리며 우상향 기조를 확고히 하고, 경제 성장을 이끄는 핵심 견인차가 되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