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운영 점포, 제휴 분야 등 점차 넓혀나갈 것“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GS25 vs CU…편의점, 주류 판매 경쟁 나섰다”입니다. 국내 편의점 왕좌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GS25와 CU의 주류 판매 강화에 대해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CU는 외식업 전문 통합 솔루션 기업 ‘와드’와 손잡고 주류 예약 구매 서비스 ‘CU BAR’를 캐치테이블까지 확대 오픈한다. /BGF리테일 제공 |
일부 레스토랑에서만 가능했던 ‘캐치테이블’의 주류 픽업 서비스가 전국 CU 점포로 확대된다. 캐치테이블은 지난해 5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350만명을 돌파했고, 제휴된 가맹점 숫자가 1만여 곳이 넘을 정도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는 앱이다.
28일 BGF리테일에 따르면 CU는 캐치케이블을 운영하는 외식업 전문 통합 솔루션 기업 ‘와드’와 손잡고 주류 예약 구매 서비스 ‘CU BAR’를 파인 다이닝 예약 플랫폼 캐치테이블까지 확대 오픈한다고 27일 밝혔다.
CU BAR는 CU의 O4O 앱인 포켓CU의 1600여 개 주류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예약 구매한 후 고객이 지정한 날짜와 점포에서 주류를 픽업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번 제휴로 일부 레스토랑에서만 가능했던 캐치테이블의 주류 픽업 서비스가 전국 CU 점포로 확대돼 집 근처 편의점에서도 24시간 언제든 예약 구매한 상품을 픽업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는 발베니, 글렌피딕, 헨드릭스 등의 인기 위스키를 시작으로 점차 맥주, 와인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대될 예정이다.
양사는 서울 명동, 부산 해운대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한 1000여개 CU 점포에서 해당 서비스를 먼저 선보인 후 점차 운영 점포를 확대하고 향후 주요 레스토랑과의 콜키지 프리 연계 등 제휴 분야도 넓힐 계획이다.
CU가 올 초 컬리, 데일리샷에 이어 캐치테이블까지 이렇게 주류 픽업 서비스를 확대하는 이유는 고객의 쇼핑 편의를 높이는 온라인 주류 구매 시장이 성장하고 있기 때문.
실제 CU BAR의 전년 대비 매출신장률은 2022년 145.2%, 2023년 190.8%, 올해(1~7월) 178.1%로 매년 매출이 2배 이상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CU BAR가 다른 채널 대비 편의성과 가격 경쟁력이 높고 오프라인 점포 보다 더욱 폭넓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주목받으며 혼술, 홈술을 즐기는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박희진 BGF리테일 온라인커머스팀장은 “주류 픽업 서비스는 모바일 서비스에 익숙한 2030을 포함한 전 연령대에서 큰 인기를 끌며 주류 상품 구매의 새로운 패턴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앞으로도 CU는 전국 최대 네트워크를 활용해 상품과 고객의 구매 트렌드를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