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경기국제공항 놓고 충돌…경기도 “2035년 개항 시 855만명 수요” vs 건설 후보지 ‘반발’”입니다. 경기도의 ‘경기국제공항’ 건설 추진 계획과, 건설 후보지로 선정된 지자체 및 지역 주민의 입장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경기국제공항 항공수요예측 및 후보지. /경기도 제공 |
11일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 및 지역 매체 등에 따르면 경기도의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로 선정된 3곳 중 화성시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내비치고 있고 평택시와 이천시도 반대 또는 유보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출발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과거 매향리 미 공군 사격장과 수원 군 공항 이전 문제로 속앓이를 해온 화성지역 주민들은 ‘수원전투비행장 화성 이전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 차원에서 대응에 나섰다. 범대위는 “경기도가 경기국제공항 후보지에서 화성시 화옹기구를 제외할 때까지 싸울 것”이라며 오는 12일 도청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연다.
범대위 관계자는 “화성 북동부지역은 이미 수원·평택 군 공항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며 “모든 종류의 공항 건설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화성시 역시 소음 피해 가중, 고도 제한 등을 이유로 서부권역 경기국제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앞서 국방부는 2017년 화성 화옹지구를 수원 공군비행장 이전 단독 예비후보지로 발표했으나, 백지화를 위한 주민 운동이 전개되면서 이전이 수포로 돌아간 바 있다.
평택시와 이천시 역시 고도 제한에 따른 개발 억제와 소음 등의 문제로 반발이 예상된다.
평택의 경우 주한미군기지가 있어 구도심 지역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 전체의 38%가 군사기지법에 따른 비행안전구역으로 묶여 있는데 팽성읍, 서탄면 등은 90% 넘는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서탄면 주민들은 기존 오산공군기지(k-55) 때문에 비행장 소음과 고도제한 등의 피해를 겪어온 탓에 반발 분위기가 강하다.
비행안전구역에선 건축물 높이가 45m(15층)를 넘을 수 없어 복합개발이 불가능해 도심 노후화로 재개발을 추진 중인 평택시 입장에선 달가울 리 없는 제안이다. 평택시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대응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천시는 서울, 수도권 반도체 생산기지와 가깝고 인구밀도가 낮다는 이유로 후보지에 선정됐지만 소음 문제 등 기피시설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이천시는 “주민 의견을 들어보고 장단점을 파악한 후 신중하게 판단하겠다”는 유보적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이미 항공작전사령부가 소재한 모가면 주민들은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그동안 헬기소음, 규제 등에 시달려왔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