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입점업주 “투기자본 MBK의 ‘먹튀’ 수순”…부실경영 조사와 진상 규명 촉구
![]() |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조합원 등이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적 대화기구 구성 등 홈플러스 정상화에 정부가 나서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홈페이지 |
이번 주제는 “홈플러스 “생존 경영” vs 노조‧입점업주 “청산형 경영”…홈플러스 15개 점포 폐점 놓고 갈등 격화”입니다.
지난 3월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기습적으로 신청한 뒤 5개월이 지난 가운데, 15개 점포 폐점을 두고 노조와 입점 업주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등 갈등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생존 경영’을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직원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노력이라는 입장입니다. 노조와 입점 업주들은 “회생이 아닌 청산을 위한 ‘먹튀’ 수순”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21일 입장문을 내고 임대료 조정 협상에 아무런 진전이 없어 15개 점포의 순차적 폐점 준비에 들어가기로 한 결정에 대해 “현 상황이 지속되면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어 (폐점 결정은) 회생 기반을 확보하고 직간접 근로자 10만명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절박하고 부득이한 결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순차적 폐점 준비에 들어가게 된 15개 점포의 경우, 수차례에 걸친 당사 요청에도 임대주가 협상에 적극적으로 응하지 않아 진전이 없어 내린 부득이한 결정”이라고 주장했숩나다.
그러면서 “해당 15개 점포는 현재 모두 과도한 임대료로 인해 대규모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합리적 수준으로 임대료를 조정하지 못할 경우, 15개 점포의 연간 영업손실만 약 800억원에 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홈플러스는 “15개 점포의 정확한 폐점 일정이 결정되는 대로 모든 입점 점주분에게 진행 계획과 보상 방안을 상세히 설명하고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의 15개 점포 폐점 방침에 대해 노조와 입점 업주들은 물론 정치권까지 가세해 비판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는 21일 자료를 통해 회사 측이 최근 15개 점포의 순차 폐점을 결정한 가운데 이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전 유성점도 폐점 수순에 들어갔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MBK는 회생이 아닌 청산을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노조는 “이미 홈플러스는 대전뿐 아니라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주요 대도시에서 점포를 잇달아 폐쇄하며 전국 유통망을 스스로 해체하고 있다”며 “이는 한국 대표 유통기업으로서의 가치를 내던지는 행위이며, 결국 홈플러스를 해체하고 투기자본 MBK의 먹튀를 위한 수순”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홈플러스 입점 점주 협의회도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에만 이득이 되는 홈플러스 15개점 폐점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부실 경영에 대한 조사와 진상 규명도 정부와 국회에 촉구했습니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이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MBK파트너스(MBK)의 위선과 책임을 철저히 규명하고 국회가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 정무위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청문회 개최 명분은 이미 충분하고 더는 늦출 이유도, 좌시할 여유도 없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특히 이들은 “MBK는 ‘자구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던 국회와의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렸다”며 “이는 명백한 거짓과 위선이며, 국회와 국민을 우롱한 행위”라고 일갈했습니다.
홈플러스의 15개 점포 순차 폐점을 둘러싼 공방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