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무위원들 “MBK, 자구책 약속 헌신짝처럼 버려…청문회 개최”
|
![]() |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 관계자들이 지난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청문회 개최 협조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홈페이지 |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는 21일 자료를 통해 “대전시가 최근 홈플러스 유성점 부지를 지하 3층, 지상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로 전환하는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수용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조는 “사실상 점포 폐점과 부동산 개발을 전제로 한 행정 절차가 진행되는 셈”이라며 “이는 지역 고용과 상권에 치명적인 공백을 초래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특히 대전 유성점은 지난 2022년 메가푸드마켓으로 리뉴얼한 뒤 전국 3위권의 연면적과 매출을 내는 ‘알짜 점포’인 만큼 유성점 폐점은 대주주인 MBK의 청산형 경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대전 내 홈플러스 점포는 7곳이었으나 탄방·둔산점(2001년), 동대전점(2022년), 서대전점(작년)이 차례로 문을 닫았다.
홈플러스가 이달 중순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한다며 발표한 순차 폐점 대상 15개 점포에 대전 문화점이 포함됐다. 만약 유성점이 폐점된다면 대전에는 가오점 한 곳만 남게 된다.
노조는 “이미 홈플러스는 대전뿐 아니라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주요 대도시에서 점포를 잇달아 폐쇄하며 전국 유통망을 스스로 해체하고 있다”며 “이는 한국 대표 유통기업으로서의 가치를 내던지는 행위이며, 결국 홈플러스를 해체하고 투기자본 MBK의 먹튀를 위한 수순”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이 아닌 지역사회와 노동자의 생존권을 먼저 지켜야 한다며 회생법원은 유성점 매각을 결코 승인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해당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은 주민 제안을 수용해 마련된 것이라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노조는 변경안은 부동산 개발업자의 제안을 토대로 한 것이라면서 이 부동산개발업자와 사모펀드 MBK의 연관성을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대전 유성점 폐점 계획을 부인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유성점 폐점 계획은 없다"며 "지구단위계획 변경안 검토는 계약 만료 등을 대비한 행정적 절차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입점 점주 협의회도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에만 이득이 되는 홈플러스 15개점 폐점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부실 경영에 대한 조사와 진상 규명도 정부와 국회에 촉구했다.
협의회는 “MBK는 단기 수익과 투자금 회수에만 혈안이 돼 홈플러스의 부실 경영이 가중되는 데도 이를 방관하고 사태를 더욱 키웠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권도 가세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이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MBK파트너스(MBK)의 위선과 책임을 철저히 규명하고 국회가 국민의 대표기관으로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히고 나선 것.
민주당 정무위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청문회 개최 명분은 이미 충분하고 더는 늦출 이유도, 좌시할 여유도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경영 실패가 아니다. 투기자본 MBK의 탐욕, 법원의 잘못된 결정, 그리고 정치권의 지연이 빚어낸 총체적 위기”이라면서 “그 결과 MBK는 웃고, 노동자는 울고 있다. 입점업체는 무너지고, 지역상권은 붕괴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이들은 “MBK는 ‘자구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던 국회와의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렸다”며 “이는 명백한 거짓과 위선이며, 국회와 국민을 우롱한 행위”라고 일갈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