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KDB산업은행 노동조합 제공 |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부서장급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반쪽짜리 부산 이전 설명회를 개최했다. 당초 전 직원 대상 설명회를 개최하려 했으나 노조의 반대로 무산되자, 조합원이 아닌 부서장급 이상 직원만 참석했다.
노조는 전날인 27일 성명서를 통해 “(삼일PwC의) 부산 이전 컨설팅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 입맛에 맞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에 불과하다”면서 “부산 이전이라는 결론만 정해놓은 알맹이 하나 없는 컨설팅에 10억원의 예산을 낭비한다는 것은 배임행위나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김현준 위원장은 성명서에서 "산업은행 부산 이전에 따른 기대 효과와 손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은 하나도 실시하지 않고 부산 이전이라는 결론만 정해놓은 알맹이 하나 없는 컨설팅에 10억원의 예산을 낭비한다는 것은 배임행위나 다름 없다"고 주장했다.
김현준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반드시 필요한지 ▲부산 이전의 경제적 효과는 어떠할지 ▲혹시 기관 경쟁력이 약화되지는 않을지 ▲국가 금융산업 경쟁력을 훼손하지는 않을지 ▲경쟁력 훼손을 막을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이 지극히 상식적인 데 이러한 검토는 단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사측의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계획안 연구용역 결과 보고서’ 발표에 맞서 노조도 지난 2월부터 자체 진행한 컨설팅 보고서로 맞불을 놨다.
노조는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 본점에서 ‘산업은행 부산 이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 발표회’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한국재무학회의 ‘KDB산업은행 부산 이전 시 재무적 파급효과 산출’, 조혜경 금융경제연구소 소장의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 등의 발표가 이뤄졌다.
재무학회는 보고서를 통해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에 따른 향후 10년간 재무적 영향을 추정한 결과 6조 5,337억원의 손실과 4,702억원의 비용 추가 지출로 총 7조 39억원의 누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손실 규모는 ▲1년차 3720억원 ▲2년차 8910억원 ▲3년차 1조 520억원 ▲4년차 2조 2180억원 등으로 해가 바뀔수록 급증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이와 함께 국가 차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측면에서도 총 15조 4,781억원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축소가 초래될 것으로 주장했다. 국가 관점에서 16조 7,233억원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축소되는 반면 신규 창출되는 파급효과는 1조 2452억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손실 규모에는 정책금융 업무 수행 불가로 인한 손실 2조 6677억원이 포함됐다.
조혜경 금융경제연구소 소장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책금융의 역할 강화방안’이라는 주제발표에서 “금융산업의 본질적 속성상 금융시장은 공간적 중앙집중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영역이고 이건 국가 정책적으로 개입해 흐름을 거스르거나 방향을 바꿀 순 없다”고 말했다.
조혜경 소장은 이어 “모든 경제의 중심지나 금융의 중심지는 사통팔달 즉 인구와 교통, 정보, 자금의 흐름이 개방적으로 집중되는 곳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걸 정부가 부산에다가 금융 공기업을 몰아서 금융 공기업 클러스터를 만든다고 해서 서울에 있는 다양한 민간 금융기관들이 같이 따라서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조 소장은 “그렇기 때문에 부산의 금융 중심지 전략이 지금까지 성공적이지 못했고 앞으로 국책 금융기관을 다 옮긴다고 해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며 “민간 금융기관은 물론 법무법인, 회계법인, 컨설팅 회사 등 유관기관들도 다 같이 가져가야 금융중심지가 만들어지는 것인데 이건 정부가 시킬 수 없는 영역”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노조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임직원 20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4%가 산은 본점 부산 이전 시 부산 이주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특히 부산 이주 의사가 전혀 없다고 답한 임직원이 85%에 달했다. 부산 이주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보통 3%, 조금 있다 2%, 매우 있다 1% 등 6%에 불과했다.
한편 산업은행의 거래처 또는 협업기관 직원 9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산업은행 고객 및 협업기관의 83.8%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타 금융기관과 거래할 의향이 있다는 답변도 72.6%에 달했다고 한다.
노조에 따르면 부산 이전이 본격화 한 지난해 97명이 퇴사했다. 예년의 2배 수준이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달 중순까지 44명이 회사를 떠났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